반응형 전체 글21 가을제철 생선 전어의 효능과 맛있게 먹는법 가을제철에 먹는 생선하면 떠오르는 이름이 전어입니다. 먼저 전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전어는 청어목 청어과의 바닷물고기이며 몸빛은 등은 검푸르고 배는 은백색의 빛깔을 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고 해요. 선도가 높은 전어일수록 생선회로 많이 소비되는데 그 값이 비싸고 활어로 판매되는 것은 더욱 비싸다고 합니다. 전어의 맛은 어떨까요?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며 회로 먹어도 좋고 구이로 먹어도 그 맛은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히게 맛있습니다. 보통 회를 먹는 생선들은 뼈를 다 손질해서 먹는데 전어는 뼈가 연해서 먹기에도 부담이 없어서 뼈째 먹으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에 따라서 먹는 방식이 다를수는 있겠지요. 만약 뼈를 먹을 수 없거나 .. 2020. 10. 18. 작지만 영양 만점인 쥐눈이콩의 효능과 먹는법 안녕하세요? 에스더코람데오 인사드려요^^ 오늘 오전까지 제출해야하는 업무 서류로 이틀 야근을 했더니 오늘은 살짝 피곤함이 몰려옵니다. 그래도 여러분들께 좋은 정보를 드리기 위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콩 좋아하세요? 저는 콩이라면 뭐든지 좋아해요. 특히 밥에 놓아 먹어도 맛있고 그냥 삶아서 간식으로 먹어도 맛있고 검은콩은 불려서 우유와 함께 갈아먹어도 맛있죠!! 콩에는 강낭콩, 완두콩, 검은콩, 메주콩 등 아주 많은 종류의 콩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쥐의 눈처럼 작게 생겼다고해서 이름 붙여진 쥐눈이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쥐눈이콩은 다른 말로 약콩이라고도 불러요. 약콩으로 불릴만큼 우리 몸에 좋다는 증거겠지요. 쥐눈이콩은 9월 30일~.. 2020. 10. 8. 대추의 효능과 말린대추 맛있게 먹는법 안녕하세요? 에스더코람데오 인사드립니다. 요즘 날씨가 아침 저녁으로 쌀쌀해서 건강 잘 챙기셔야 할 것 같아요.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시구요. 환절기를 잘 보내시기 바래요. 오늘은 가을의 열매인 대추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번 추석에 대추 많이 드셨나요~~ 대추는 잎이 난형으로 끝이 뽀족하게 생겼어요. 그리고 사진에서 보이는것처럼 3개의 굵은 잎맥도 볼수 있어요. 꽃은 5~6월에 피는데 황록색을 띠며 열매는 9~10월 경에 익어서 먹을 수 있어요. 대추는 붉은 색을 띤다하여 홍조하고도 불리는데요,, 찬 이슬을 맞고 건조한 것이라야 양질의 대추가 된다고 합니다. 대추나무를 보게 되면 한 나무에 많은 대추열매가 열린 것을 볼 수 있어요. 꽃이 피면 반드시 그곳에 열매가 열리고그 뒤에 꽃이 떨어진다.. 2020. 10. 6. 잠자는 동안 몸에서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어나보니 바람이 많이 불더라구요 가을이 성큼 다가옴을 느끼겠어요. 어제 티비보느라 늦게 잠들었지만 도중에 깨지않고 푹 자서 그런지 아침에 일어날 때 상쾌했어요. 잠을 자더라도 양질의 숙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또 실감합니다. 잠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영역입니다. 잠을 잘 잔다는 것은 우리 몸의 기능을 다시 최적화 하는 과정이라 볼수 있죠. 즉 잠을 통해 하루의 피로를 풀수 있을뿐만 아니라 집중력과 기억력도 높일수 있어요. 또,, 면연력도 높일 수 있으므로 우리에게 잠은 필수겠죠!! 도대체 잠자는 동안 몸에서는 어떤 변화가 생기는 걸까요? 저랑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첫째,, 소화가 느려집니다. 어른들이 항상 하는 이야기가 떠올라요~~ '자기 전에 음식 먹으면 소화가 안된다.. 2020. 10. 5. 우리 몸에 좋은 식초의 8가지 효능은? 안녕하세요? 에스더코람데오입니다. 이제 연휴도 끝날 날이 몇일 안 남았네요. 긴 연휴를 마치고 일상으로 돌아갈 생각을 하니 더 쉬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네요~~ 아무쪼록 건강 잘 챙기면서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자구요 ㅎㅎ 오늘은 식생활에서 여러음식에 꼭 필요한 조미료로 사용되는 식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초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종기를 제거하고 어지러움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몇해전에는 다양한 음식으로 식초를 만들어서 먹었던 유행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식초가 우리몸에 좋다는 사실을 모르는 분이 없을 정도예요 저도 얼만전부터 아로니아로 식초를 만들어서 먹기 시작했네요. 그럼,, 식초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위장병 한국 사람대부분은 위장병을 조금씩 가지고 있어요.. 2020. 10.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