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식문화 속에서 채식이란 말은 이제 우리 가까이에 다가왔습니다.
고기를 주로 먹는 유럽에서도 채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며 채식 전문 레스토랑이 생길만큼 채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급변하는 식문화의 영향을 받은 탓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채식주의의 문화로 탈바꿈하는 것을 볼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채식주의의 뜻은 무엇이며 채식주의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왜 이렇게 글로벌 푸드가 채식에 관심을 보이는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채식주의는 무슨 뜻일까요?
채식주의는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일부 식품을 제외하고 채소나 과일, 해초 따위의 식물성 음식을 권장하는 식습관을 뜻합니다. 이렇게 채식을 선호하는 채식주의에도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그럼 채식주의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채식주의의 종류
1. 프루테리언
채식주의의 한 갈래로 열매만을 섭취하는 식습관입니다. 애플의 공동 창립자 스티브 잡스가 청년시절 건강에 좋다면 매일 사과만 먹고 샤워가 필요없다는 논리를 펴며 씻지 않고 다녔다는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2. 비건
채식주의의 형태중에서 프루테리언을 제외한 가장 엄격한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오직 식물성 식품만 섭취를 합니다.
3. 락토 베지테리언
채식을 하면서 유제품을 먹는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4. 오보 베지테리언
비건의 허용 품목에서 계란만 포함해서 먹는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5.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
락토와 오보 두가지를 모두 허용하는 채식주의지를 뜻합니다.
6. 페스코 베지테리언
채식을 하면서 어패류는 먹는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7. 폴로 베지테리언
채식을 하면서 닭과 같은 조류의 고기를 먹는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8. 플렉시테리언
채식을 중심으로 하지만 융통성 있게 고기나 생선도 먹는 세미 채식주의자를 뜻합니다. 채식의 세계에 첫 발을 내딛는 사람들에게 가장 권하는 유형입니다.
왜 채식에 관심을 보일까요?
사람마다 다양한 이유들이 있겠지만 보편적으로는 건강을 위해서, 동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종교적인 이유로 채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에서 요즘은 세계 모든 사람들이 환경보호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고기를 일주일에 하루만 먹지 않아도 대기오염이 줄어 온실가스 방출을 줄일 수 있고, 물은 연간 13만 L 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1kg의 소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 대략 4만 L 이상의 물이 필요하고 지구에서 생산되는 곡물의 1/3 이상이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며 축산에 의 해 배출되는 메탄가스가 이산화탄소보다 21배의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사회적 관점으로 바라볼때 동물도 하나의 생명체로서 고통스럽게 살아가지 않을 권리를 지켜주며 윤리적 소비를 해야한다고 채식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한 목소리로 말하고 있습니다.
채식의 효과
채식을 하게되면 여러가지 효과가 나타나지만 그중에서 체중감량, 성인병 예방, 피부개선, 당뇨병 및 암, 비만 예방, 스트레스 감소등의 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좋다고 따라하기 보다는 자신의 신체 체질에 맞추어 천천히 시작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콤한 꿀, 그 속에 숨겨진 효능과 섭취방법 알아보기 (0) | 2023.05.29 |
---|---|
공황장애 증상과 특징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0) | 2021.05.05 |
엽산의 중요성과 엽산이 들어간 식품 및 함유량 (0) | 2021.04.26 |
피로회복과 소화에 좋은 매실의 다양한 이름과 효능 및 음식 (0) | 2021.04.25 |
건강하고 활기차게 생활하기 위한 기본 4가지 키워드 (0) | 2021.04.22 |
댓글